건강기능식품과 기능성식품소재 시장현황(2012)
21세기 생명공학의 발달, 건강에 대한 욕구 증대 등으로 식품에 대한 건강과 안정성 지향이 급속히 강조되면서 인식이 바뀌고 있다. 과거 식품의 양적인 면을 강조하던 시대에는 식품 수급과 식량 확보가 대상이었지만 현재는 식품 기능성, 즉 식품의 생체조절 기능에 주목하며 식품 안정성이 강조되고 있다.
머리말
21세기 생명공학의 발달, 건강에 대한 욕구 증대 등으로 식품에 대한 건강과 안정성 지향이 급속히 강조되면서 인식이 바뀌고 있다. 과거 식품의 양적인 면을 강조하던 시대에는 식품 수급과 식량 확보가 대상이었지만 현재는 식품 기능성, 즉 식품의 생체조절 기능에 주목하며 식품 안정성이 강조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가공한 식품으로 정의하고 있는데 건강기능식품은 의약품과 달리 질병상태의 치료가 목적이 아니라 생체기능의 활성화를 통해 질병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건강유지·증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인구 노령화와 성인병 질환이 증가하는 추세여서 정부, 학계, 산업계뿐만 아니라 국민들까지도 식품의 기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기능성식품에 대한 관심을 가지지 시작하였고, 최근 소득증가와 소비수준의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건강식품에 대하여도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건강보조를 위한 식품개발도 연구 기관과 기업을 중심으로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건강기능식품 생산액은 건강기능식품 제도가 시행된 2004년 2,506억 원에서 2010년에는 제도 도입이후 처음으로 1조원 시장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1년에는 1조3682억 원으로 4.5배 가량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품목별로는 홍삼제품이 전체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52.6%(7,190억원)을 차지하며 1위를 차지했다. 홍삼제품은 2004년 전체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30%인 1,920억원에서 2010년 54.5%(5,817억원)를 기록하며 현재까지 1위를 유지하고 있다. 그 뒤를 이어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 11%(1,561억원), 개별 인정형 제품 10% (1,434억원), 알로에 제품 5%(691억원),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제품 4%(508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국내 건강기능식품산업은 질병예방을 통한 국민의료비 절감과 건강증진으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고부가가치 미래핵심 동력산업이며, 세계 보건산업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질병의 치료에서 질병예방, 일반식품의 개발은 고부가가치 기능성식품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이에 당사는 본 보고서가 건강기능식품 및 관련 산업에 관심이 있는 관련 기관․업체의 실무담당자에게 사업전략 수립과 시장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목차
Ⅰ. 식품산업 현황과 전망27
1. 국내 식품 시장동향27
1-1. 식품 생산현황27
1) 식품 생산액27
(1) 유형별27
(2) 품목별28
(3) 지역별30
2) 식품 생산량30
(1) 유형별30
(2) 지역별32
(3) 품목별33
3) 업체별 생산현황34
1-2. 식품 매출현황36
1) 매출액36
(1) 유형별36
(2) 지역별37
(3) 품목별38
2) 출하량41
(1) 유형별41
(2) 지역별42
(3) 품목별43
3) 업체별48
1-3. 식품업체 현황49
1) 개요49
2) 매출액 규모별52
3) 사업장 규모별53
4) 종업원 수 현황55
1-4. 국내 식품기업의 경영현황 및 전망58
1) 성장성 분석59
2) 수익성 분석59
3) 안전성 분석63
4) 2012년 식품제조기업 경영실적 전망63
2. 국내 OEM식품 생산현황65
2-1. 개요65
2-2. 품목별 OEM식품 생산현황68
2-3. 업체별 생산현황70
Ⅱ. 건강기능식품 시장현황 및 전망75
1. 건강기능식품 개요75
1-1. 기능성 식품의 개념75
1-2. 건강기능식품의 정의77
1-3. 건강기능식품의 분류 및 인정제도79
2. 건강기능식품 시장동향81
2-1. 개요81
2-2. 건강기능식품 시장동향82
2-3. 기타 기능성식품89
1) 개요89
2) 기타 기능성식품 시장동향 및 전망90
2-4. 유통채널별 건강기능식품 매출현황93
1) 개요93
2) 유통채널별 매출액 추이94
3) 유통채널별 현황98
(1) 다단계98
(2) 방문판매98
(3) 전문매장99
(4) 백화점99
(5) 홈쇼핑99
(6) 약국99
(7) 온라인판매99
2-5. 건강기능식품 통계100
3. 유망 기능성식품 시장현황 및 전망106
3-1. 농수산물 소재 건강기능식품106
1) 개요106
2) 농수산물 소재 건강기능식품 시장현황 및 전망107
(1) 항노화 관련소재107
(2) 관절염 관련소재108
(3) 갱년기 또는 폐경기 관련 소재109
(4) 항상화 및 항암관련 소재110
(5) 항비만 및 대사성 질환 관련소재111
(6) 피부관련소재113
3-2. 미생물 소재 건강기능식품115
1) 개요115
2) 미생물 소재 건강기능식품 시장동향 및 전망116
3-3. 특수용도 및 맞춤형 식품118
1) 개요118
2) 특수용도 및 맞춤형 식품 종류118
(1) 환자용 균형 영양식118
(2) 당뇨환자용 식품118
(3) 신장질환자용 식품119
(4) 장질환자용 가수분해 식품119
(5) 열량 및 영양공급용 의료용도 식품119
(6) 선천성 대사질환자용 식품119
(7) 영․유아용 특수조제식품119
(8) 연하곤란 환자용 점도 증진식품120
3) 특수용도 및 맞춤형 식품 시장동향 및 전망120
4. 기능성 원료의 성상 및 인정 실태122
4-1.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의 현황122
1) 개요122
2) 2011년 기능성원료 인정현황124
4-2. 고시형 기능성 원료142
1) 개요142
2) 고시형 기능성 원료의 개별 분류143
(1) 영양소(28)143
(2) 터핀류(5)143
(3) 페놀류(10)143
(4) 지방산 및 지질류(14)144
(5) 당 및 탄수화물(21)144
(6) 발효 미생물류(2)144
(7) 아미노산 및 단백질류(2)144
5. 건강기능식품 소비자 인식도 및 이용실태154
5-1. 조사개요154
1) 조사배경 및 목적154
2) 조사설계154
3) 응답자 특성155
5-2. 조사결과156
1) 건강기능식품 인지156
2) 건강기능식품 구매 항목159
(1) 건강기능식품 구매 경험159
(2) 건강기능식품 구매 전 정보조사 여부159
(3) 건강기능식품 구매 전 정보조사 채널160
(4) 건강기능식품 구입목적161
(5) 건강기능식품 실제 섭취자162
(6) 건강기능식품 구입 장소163
(7) 건강기능식품 비구매 이유167
3) 건강기능식품 재구매 항목168
(1) 향후 건강기능식품 구매 의향168
(2) 향후 구입 희망 건강기능식품 제품(성분/소재)169
(3) 향후 건강기능식품 구입 장소171
(4) 향후 건강기능식품 비구매 이유172
(5) 향후 건강기능식품 구매 시 기대효능173
Ⅲ. 세계 건강기능식품 시장현황 및 전망177
1. 미국 건강기능식품 시장현황 및 전망177
1-1. 개요177
1-2. 식이보충제 및 관련법규178
1) 식이보충제의 정의 178
2) 식이보충제의 원료 178
3) 식이보충제의 표지 179
4) 관련법규180
1-3. 건강기능식품 및 소재 동향181
1) 건강기능식품 동향181
2) 소재 동향184
1-4. 유통구조186
2. 일본 건강기능식품 시장현황 및 전망188
2-1. 개요188
2-2. 보건기능식품190
1) 영양기능식품 191
2) 특정보건용 식품의 분류192
(1) 특정보건용식품 192
(2) 조건부 특정보건용식품 192
(3) 규격기준형 특정보건용식품 192
(4) 질병위험저감표시 특정보건용식품 193
2-3. 건강기능식품 시장동향 및 유통구조193
1) 시장동향193
2) 유통 구조195
2-4. 일본 기능성식품 소재 동향196
1) 개요196
2) 인기 소재197
3) 신소재198
4) 건강기능식품 유망 소재 동향200
(1) 카시스200
(2) 라스베라트롤201
(3) ɑ-리포산202
(4) 로얄제리203
(5) 울금204
(6) 히알루론산205
(7) 코엔자임큐텐206
(8) 고려인삼208
3. 중국 건강기능식품 시장현황 및 전망210
3-1. 개요210
3-2. 건강기능식품 시장동향 및 유통구조213
1) 시장동향213
2) 유통 구조216
3-3. 유망품목 및 소재동향217
1) 유망품목217
(1) 프로바이오틱스 제품217
(2) 칼슘보충제217
(3) 인삼 및 홍삼제품218
2) 소재 동향218
4. 유럽 건강기능식품 시장현황 및 전망220
4-1. 개요220
4-2. 유럽 건강기능식품 시장 및 소재동향221
1) 시장개요221
2) 소재 동향223
4-3. 독일 시장동향225
1) 시장개요 225
2) 소비자 트렌드 226
3) 유통 구조 226
4) 시장 전망 227
4-4. 스위스의 건강기능식품 시장228
1) 시장 개요 228
2) 소비자 트렌드 229
3) 유통 구조 229
4) 향후 시장 전망 230
4-5. 영국의 건강기능식품 시장 231
1) 시장 개요 231
2) 시장 트렌드 232
3) 소비자 트렌드 및 유통구조233
(1) 소비자 트렌드233
(2) 유통 구조 233
4) 시장 전망 234
5. 기타 국가 기능성식품시장 현황과 전망235
5-1. 호주 기능성식품시장 현황과 전망235
1) 개요 235
(1) 보완의약품 관리 제도 235
2) 소비자 트랜드 238
3) 향후 시장 전망 240
5-2. 대만 기능성식품시장 현황과 전망241
1) 개요241
2) 시장현황 242
3) 유통구조 244
5-3. 싱가포르 기능성식품시장 현황과 전망244
1) 개요244
2) 시장현황 246
3) 유통 구조 247
4) 시장 전망 248
5-4. 베트남 기능성식품시장 현황과 전망248
1) 개요248
2) 시장현황 249
3) 소비자 트렌드 및 유망품목252
(1) 소비자 트렌드252
(2) 유망품목252
4) 유통구조252
5-5. 인도네시아 기능성식품시장 현황과 전망253
1) 개요 253
2) 시장현황 253
3) 유통구조 및 판촉 255
Ⅳ. 건강기능식품 관련업체동향259
1. 주요 건강기능식품업체 현황259
1) (주)서흥캅셀259
2) (주)김정문 알로에262
3) (주)렉스진바이오텍263
4) 마임266
5) 유니베라(주)267
6) 일진제약268
7) 한국야쿠르트271
8) (주)한국인삼공사272
9) 씨제이제일제당273
10) 풀무원건강생활274
11) (주)동구제약275
12) 종근당건강(주)277
13) (주)건보278
14) (주)세모279
15) 아모레퍼시픽281
16) (주)알피코프282
17) (주)한미양행283
18) 한국암웨이284
19) 건풍바이오(주)285
20) (주)고려바이오홍삼286
21) 고려인삼과학(주)287
22) 고려인삼연구(주)288
23) (주)녹십초 알로에290
24) (주)네추럴에프앤피291
25) (주)네추럴웨이293
26) 동서제약웰빙294
27) 동진제약 식품사업부295
28) (주)보령수앤수296
29) (주)비피도297
30) 삼진GNF(주)298
31) 서산인삼협동조합299
32) 신라바이오텍300
33) (주)쎌바이오텍300
34) 아미코젠(주)301
35) 영동기능식품(주)303
36) (주)이에스바이오텍304
37) (주)일화305
38) 천호식품(주)306
39) 풍기특산물영농조합법인307
40) (주)피엔케이309
41) 한국푸디팜(주)310
42) (주)함소아제약312
43) (주)휴럼313
44) (주)HK바이오텍314
45) (주)NH한삼인315
2. 건강기능식품업체322
3. 건강기능벤처업체388
Ⅴ. 부록 - 관련통계 및 자료397
1. 식품산업 통계397
1-1. 식품산업 현황397
1-2. 부문별 식품산업 통계405
1) 제분․전분․전분당405
2) 제당․식용유지408
3) 제과․빙과․제빵․라면413
4) 유가공․육가공415
5) 수산가공421
6) 조미료․조미식품․장류제조업428
7) 김치제조업433
8) 음료․주류434
9) 커피․인삼제품439
10) 외식산업442
11) 레토르트․연식품444
1-3. 세계 식품산업 관련 통계447
2.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2012~2017) 468
2-1. 추진 배경468
2-2. 그간의 추진성과 및 당면과제469
1) 성과469
2) 당면 과제469
2-3.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 주요내용471
1) 기본 방향471
2) 식품산업 인프라 확충472
3) 농어업과 식품산업의 연계강화473
4) 글로벌 경쟁력 강화474
5) 소비자 정보제공 및 보호475
2-4. 기대효과 및 추진계획476
1) 분야별 기대효과476
2) 세부 시행계획(안)477
3. 우수 건강기능식품 제조 기준(GMP)479
3-1. GMP 지정업체 현황479
1) 개요479
(1) 건강기능식품 GMP 정의479
(2) 근거법령 및 목표479
(3) GMP 적용 및 신청480
(4) 지정절차480
2) 연도별 GMP 지정업소 현황483
(1) 2012년483
(2) 2011년483
(3) 2010년484
(4) 2009년485
(5) 2008년486
(6) 2007년486
(7) 2006년487
(8) 2005년489
3-2. 건강기능식품 표시 및 광고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