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 IoE로 주목받는 스마트홈 시장의 실태와 사업전략
-IoT(사물인터넷) 이용 스마트홈 시장동향 및 업체별 추진전략, 가전/의료/이동통신·방송/에너지/보안/건설 주요 분야별 스마트홈 서비스 추진동향-
국내외 스마트홈 서비스 실태를 분석하고, 각 업체들의 스마트홈 트렌드를 정리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본 보고서가 국내 스마트홈 및 관련 주변산업에 진출한 국내외 기업뿐 아니라 국내 시장에 관심이 있는 관련 기관 ․ 업체의 실무담당자에게 사업전략 수립과 시장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머리말
최근 소비자들의 스마트 단말 이용 및 보안 서비스 수요 증가, 무선통신 기술이나 센서 기술 등의 발전에 따른 설비 구축비용 감소, 보안 서비스와 에너지 관리에 대한 관심 증대로 스마트홈 서비스가 급부상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스마트 단말 이용, 특히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로 고가의 전용 제어 패널의 역할을 모바일 단말 및 앱이 대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 조작에 익숙한 소비자들로서도 보다 손쉽게 스마트홈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가정 내 기기들을 네트워크로 연동해 모바일 단말이나 PC 등을 통해 원격으로 모니터링, 제어 및 작동하는 제품, 서비스, 솔루션 등을 총칭하는 스마트홈(Smart Home) 시장은 기반 기술의 발전과 수요 확대는 물론 다양한 사업자들의 사업 진출로 서비스 확산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CES 2014에서 모바일 기기와 가전기기의 연동을 통해 원격으로 가전기기 정보를 확인하고 조작할 수 있는 스마트홈 관련 제품이 다수 전시되면서 IoT(사물인터넷)/IoE(만물인터넷)을 이용한 스마트홈이 주요 트렌드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스마트TV, 스마트홈 폰, 도어락, 온도조절기, 전구와 콘센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가정용 기기들이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있는데, 이용자는 간단한 애플리케이션 설치로 휴대용 스마트 기기를 통해 이러한 기기들을 모니터링 하는 것뿐만 아니라 원격 제어 또한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사물 간 정보공유 및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사물인터넷이 다양한 가전 및 각종 홈기기에 적용되면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에서 원격으로 홈내 가전 및 각종 기기를 제어하는 시대가 앞 당겨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당사는 ⌜IoT/IoE로 주목받는 스마트홈 시장의 실태와 사업전략⌟을 통하여 국내외 스마트홈 서비스 실태를 분석하고, 각 업체들의 스마트홈 트렌드를 정리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본 보고서가 국내 스마트홈 및 관련 주변산업에 진출한 국내외 기업뿐 아니라 국내 시장에 관심이 있는 관련 기관 ․ 업체의 실무담당자에게 사업전략 수립과 시장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목차
Ⅰ. IoT/IoE로 급변하는 산업생태계와 스마트홈 시장동향
1. IoT(사물인터넷)/IoE(만물인터넷) 개요
1-1. IoT/IoE 정의와 개념
1) IoT/IoE 정의
2) IoT/IoE 개념
1-2. 사물인터넷 종류 및 구성요소
1) 사물인터넷 종류
(1) M2M
(2) WSN/USN
(3) IoE(만물인터넷)
(4) Web of Things
(5) 유사개념 비교분석
2) IoT 주요 구성요소
2. IoT/IoE관련 주요 이슈 및 최근동향
2-1. IoT/IoE 주요 동향
1) IoT/IoE 최근동향
(1) 미래부,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발표
(2) CES 2014의 화두, 사물인터넷
2) 국내 사물인터넷(IoT)의 관련 주요 동향
2-2. 세계 사물인터넷(IoT) 관련 주요 동향
1) 세계 사물인터넷(IoT) 시장동향
(1) 세계 IoT 시장개요
(2) IoT 적용 주요사례
(3) 글로벌 M2M 시장 전망
2) 미국 사물인터넷(IoT) 시장동향
(1) 미국 IoT 시장 동향
(2) 주요 참여업체 동향
① AT&T
② Verizon
③ Sprint
④ T-Mobile
3) 중국 사물인터넷(IoT) 시장동향
(1) 중국 IoT 시장 동향
(2) 주요 참여업체 동향
① China Mobile
② China Telecom
③ China Unicom
4) 일본 사물인터넷(IoT) 시장동향
(1) 일본 IoT 시장 동향
(2) 주요 참여업체 동향
① NTT DoCoMo
② SoftBank
③ Toyota
④ Honda
⑤ Mitsubishi Electric
2-3. 사물인터넷 응용 분야별 현황 및 전망
1) 사물인터넷 응용 분야별 주요 이슈
2) 사물인터넷 주요 응용 분야별 시장 전망
(1) 텔레매틱스 및 차량관제
(2) 스마트그리드
(3) 고정형 무선통신
(4) 생활가전과 스마트홈
3. 사물인터넷 주요 산업별 적용과 전망
3-1. 교통/운송 관련
1) ITS
(1) SAFESPOT 프로젝트
(2) CVIS
(3) IntelliDrive
2) Telematics
(1) 차량정보관리
(2) SENSEL TELEMATICS
(3) Onstar
(4) 헤네스
3) 차량관리
(1) 타이어 이력추적
(2) 무인편도 카 셰어링(car sharing) 시스템
(3) e-Call 서비스
(4) SenseAware
(5) M2M 차량 관리
4) 관제서비스
(1) 고속버스 차량 관제서비스
(2) 전기차충전 인프라사업
(3) 셔틀버스 차량 관제서비스
(4) 마을버스 BIS 서비스
3-2. 에너지/보안 관련
1) 스마트미터(Smart meter)
(1) BEMS 적용 사례
(2) FEMS 적용 사례
(3) 스마트미터 보급 적용 사례
2) 보안 관제
(1) 방사선 위치추적
(2) 무선 보안 서비스
3-3. 기타분야
1) 결제시스템
(1) 무선ATM
(2) 무선 결제 시스템
(3) 인터넷 자동판매기
2) 기타
(1) 무선인터넷 센서
(2) 아두이노(Arduino)
(3) 트윗 음주측정기
(4) 스마트 쓰레기통
(5) 하수범람 방지 센서
(6) 반려동물케어서비스
(7) Lockitron, Doorbot
(8) 태블릿 겸용 거울
(9) 인터넷 연결 식물
4. 스마트홈 시장 현황
4-1. 스마트홈 최근동향
1) IoT를 통한 스마트홈 시대 개막 - CES 2014
(1) CES 2014 개요
(2) CES 2014를 통한 스마트홈 시대의 본격 개막
2) 주요 기업 스마트홈 사업전략
(1) 삼성전자, 사물인터넷을 통한 스마트홈 구축
① 만물인터넷 시장 선도 선포
② ⌜삼성 스마트홈⌟ 공식 출시
(2) LG전자의 IoT 전략
(3) 구글, 네스트랩스 인수로 사물인터넷 바탕, 스마트홈 시장 본격참여
(4) 필립스, 스마트전구 ⌜휴⌟
4-2. 스마트홈 개요
1) 스마트홈 개념과 의의
2) 스마트홈의 구성요소
3) 스마트홈 시대의 진화
(1) 스마트홈, 종합 서비스 개념으로 진화
(2) 가전제품으로 스마트홈 시장 구현
(3) 통신업체, 통신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4) 스마트홈 산업의 발전현황
4-3. 국내외 스마트홈 시장현황 및 전망
1) 해외 스마트홈 시장현황 및 전망
(1) 해외 스마트홈 시장현황
(2) 유럽 커넥티드 및 스마트 홈 시장전망
(3) 중국 스마트홈 시장동향
① 개요
② 중국 스마트 가구
(4) 일본 스마트홈 시장동향
① 일본 주택 에너지 관리 시스템(HEMS)
② 스마트하우스 현황
2) 국내 스마트홈 시징현황 및 전망
(1) 스마트홈 시장의 변화
(2) 스마트홈 시장현황 및 전망
4-4. 스마트홈 사업분야별 서비스 제공동향
1) 스마트홈 시장 사업자별 경쟁 배경
2) 사업자별 스마트홈 사업 전개 동향
Ⅱ. IoT/IoE로 주목받는 스마트홈 주요 분야별 시장실태와 사업전략
1. 가전분야 스마트홈 동향과 참여업체 사업전략
1-1. 가전분야 스마트홈 국내외 동향
1) 가전업계 스마트홈 동향
2) 스마트가전 및 스마트홈
(1) 홈오토메이션 현황
(2) 스마트가전
① 스마트TV
② 스마트냉장고
③ 스마트에어컨
④ 스마트세탁기
⑤ 로봇청소기
3) 주요 가전업체 스마트홈 서비스 전략
(1) 삼성전자
(2) LG전자
(3) GE
(4) Whirlpool
(5) Panasonic
(6) Apple & Google
1-2. 가전분야 스마트홈 국내외 주요업체 동향
1) 삼성전자 스마트홈
(1) 삼성전자 기업개요
(2) 삼성전자 스마트홈 사업동향(2014)
① 삼성전자 스마트홈 출시
② 삼성스마트홈 주요특징
③ 삼성 스마트홈 주요 기기
(3) 스마트 홈넷(2011) 및 홈싱크(2013)
① 스마트 홈넷
② 홈싱크
2) LG전자 홈챗
(1) LG전자 기업개요
(2) LG전자 스마트홈 사업동향
① LG전자 홈챗
② LG전자 홈넷 및 통합 스마트홈 서비스
③ LG전자 스마트홈 주요 기기
3) 하이얼 u-home
(1) 하이얼 기업개요
(2) 하이얼 U-HOME
4) 도시바
(1) 도시바 기업개요
(2) 도시바 스마트홈 사업
5) 혼다
(1) 혼다 기업개요
(2) 혼다 스마트홈 사업
6) 파나소닉
(1) 파나소닉 기업개요
(2) 파나소닉 스마트홈 사업
2. 의료분야 스마트홈 동향과 참여업체 사업전략
2-1. 의료분야 스마트홈 국내외 동향
1) 스마트홈 헬스케어 개요
2) 스마트홈 헬스케어 동향
(1) 웨어러블 헬스케어
(2) 헬스케어 디바이스
(3) 헬스케어 부문 스마트폰 적용
3) 고령자 대상 스마트홈 헬스케어
(1) 개요
(2) 고령자 대상 스마트홈 헬스케어 동향
4) 미국 주요 사업자들의 원격 의료 서비스
(1) Verizon
(2) Wipro
(3) SecuraTrac
(4) Boston Center
(5) AT&T
(6) Sprint
2-2. 의료분야 스마트홈 관련 서비스 및 제품동향
1) 수면정보 모니터링
(1) 스마트 수면 시스템 - Pulse와 및 The Aura
(2) Jawbone UP
(3) Beddit
(4) 스마트 밴드
(5) Zeo Sleep Manager
2) 생체정보 모니터링
(1) Fitness SHIRT
(2) 스마트 의류
(3) ViSi Mobile
3) 심장정보 모니터링
(1) Nexcor
(2) NUVANT MCT
(3) Wearable heart monitor
(4) Health Guardian CU-EL1
(5) AliveCor
4) 동작정보 모니터링
(1) 독거노인 원격모니터링 개호지원서비스
(2) Owlet Socks(건강 모니터링 디바이스)
(3) 인터넷 연결 슬리퍼
5) 혈당 모니터링
(1) iBGStar
(2) Dexcom의 SEVEN PLUS
(3) 구글, 혈당수치 체크 스마트 렌즈 개발
6) 약복용 모니터링
(1) Proteus Digital Health
(2) 글로우캡(스마트 약병)
(3) 아이필(iPill)(지능형 알약)
(4) Helius(스마트 센서 약품)
7) 기타 모니터링
(1) Sensoria Socks
(2) Triggerfish
(3) The AID
3. 이동통신/방송분야 스마트홈 동향과 참여업체 사업전략
3-1. 이동통신/방송분야 스마트홈 국내외 동향
1) 이동통신 업체 스마트홈 사업현황
(1) 통신사업자, 스마트홈 서비스 도입 배경 및 현황
(2) 통신사업자, 스마트홈 사업 추진동향
2) 국내외 이동통신사업자들의 스마트홈 사업 최근동향
(1) 국내 이동통신사업자 스마트홈 사업 최근동향
(2) 해외 이동통신사업자 스마트홈 사업 최근동향
3-2. 이동통신/방송분야 스마트홈 국내외 업체동향
1) 국내 이동통신/방송 업체별 스마트홈 사업 추진 동향
(1) SK텔레콤
① SK텔레콤 기업 개요
② SK텔레콤의 스마트홈 사업현황
(2) KT
① KT 기업 개요
② KT의 스마트홈 사업현황
(3) LG유플러스
① LG유플러스 기업 개요
② LG유플러스의 스마트홈 사업현황
(4) 기타업체
① 휴맥스
② 가온미디어
③ 홈캐스트
2) 해외 이동통신 주요 업체별 스마트홈 사업 추진동향
(1) 해외 이동통신 업체 스마트홈 사업 개요
(2) Google - Android@Home
① 구글 기업 개요
② 구글의 스마트홈 사업현황
(3) Apple - 홈 자동화
① 애플 기업 개요
② 애플의 스마트홈 사업현황
(4) AT&T의 ⌜Digital Life⌟
① AT&T 기업 개요
② AT&T의 스마트홈 사업현황
(5) Verizon Wireless의 ⌜Home Monitoring and Control⌟
① Verizon 기업 개요
② Verizon의 스마트홈 사업현황
(6) NTT docomo의 ⌜docomo Smart Home⌟
① NTT docomo 기업 개요
② NTT Docomo의 스마트홈 사업현황
(7) Orange Poland - Smart House 서비스
3) 해외 방송분야 주요 업체별 스마트홈 사업 추진 동향
(1) 해외 케이블TV 사업자 스마트홈 사업동향
(2) 해외 케이블TV 사업자별 스마트홈 사업 추진 동향
① Comcast의 ⌜Xfinity Home⌟
② Time Warner Cable의 ⌜Intelligent Home⌟
③ Mediacom의 스마트홈 시장 진출
④ Swisscom
⑤ Telefonica, Deutsche Telekom
4. 에너지분야 스마트홈 동향과 참여업체 사업전략
4-1. 에너지분야 스마트홈 국내외 동향
1) 커넥티드홈 그리드
(1) 에너지분야 스마트홈 개요
(2) AMI 및 스마트미터
① AMI
② 스마트미터
2) 스마트플러그
3) 스마트 홈 에너지관리
4) 지능형소비자(Smart Place)
4-2. 에너지분야 스마트홈 국내외 업체동향
1) 옴니시스템
2) 누리텔레콤
3) Comcast
5. 보안분야 스마트홈 동향과 참여업체 사업전략
5-1. 보안분야 스마트홈 국내외 동향
1) 보안산업 최근 동향
2) 스마트폰 대중화에 따른 홈시큐리티산업
3) 스마트홈 기기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
5-2. 보안분야 스마트홈 국내외 업체동향
1) 보안분야 국내 주요 업체별 스마트홈 사업 추진 동향
(1) 에스원 - 세콤 홈블랙박스
① 에스원 기업개요
② 에스원 스마트홈 사업
(2) ADT Calm - ADT캄 서비스
① ADT캡스 기업개요
② ADT캡스 스마트홈 사업
(3) KT텔레캅 - 올레 CCTV 텔레캅
① KT텔레캅 기업개요
② KT텔레캅 스마트홈 사업
(4) SK텔레콤 – NSOK 인수, 무인보안서비스 시장참여
(5) LG유플러스 - 홈CCTV 맘카, 홈보이 등
(6) 삼성SDS - 스마트 홈 솔루션
(7) 코맥스 - 스마트홈/보안사업
① 코맥스 기업개요
② 코맥스 스마트홈 사업
(8) 코콤 -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① 코콤 기업개요
② 코콤 스마트홈 사업
(9) 현대통신 -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워크시스템
① 현대통신 기업개요
② 현대통신 스마트홈 사업
2) 보안분야 해외 주요 업체별 스마트홈 서비스 동향
(1) Verizon 및 AT&T
(2) ADT
(3) 락키트론(Lockitron) - 스마트 홈 도어락
(4) 벨킨 - 넷캠 와이파이 카메라 나이트비전
(5) Portman - 고성능 GPS 트래킹
(6) 제너시스템즈 - 아이가디언(iGuardian)
(7) Schlage – LiNK 시스템
6. 건설분야 스마트홈 동향과 참여업체 사업전략
6-1. 주택 스마트홈 서비스
1) 건설분야 스마트홈 서비스 동향
2) 공동주택 스마트홈 서비스
(1) 신규 공동주택 스마트홈 서비스
(2) 일반 주택 스마트홈 서비스
6-2. 건설분야 스마트홈 국내외 업체동향
1) 현대건설
(1) 현대건설 개요
(2) 현대건설 스마트홈 사업동향
2) 삼성물산
(1) 삼성물산 개요
(2) 삼성물산 스마트홈 사업동향
3) 대우건설
(1) 대우건설 개요
(2) 대우건설 스마트홈 사업동향
4) 대림산업
(1) 대림산업 개요
(2) 대림산업 스마트홈 사업동향
5) 포스코건설
(1) 포스코건설 개요
(2) 포스코건설 스마트홈 사업동향
6) GS건설
(1) GS건설 개요
(2) GS건설 스마트홈 사업동향
7) 롯데건설
(1) 롯데건설 개요
(2) 롯데건설 스마트홈 사업동향
8) SK건설
(1) SK건설 개요
(2) SK건설 스마트홈 사업동향
Ⅲ. 스마트홈 관련 주변산업 기술, 시장동향과 디바이스 현황
1. 스마트홈 관련 기술동향
1-1. 주요 기술동향
1) WI-FI Direct
2) NFC
(1) NFC 기술 동향
(2) NFC 서비스 개발 현황
3) 블루투스
4) 음성인식기술
5) 동작인식기술
(1) 동작인식기술 개요
(2) 방식과 원리
1-2. 스마트홈 관련 표준화 및 특허동향
1) 스마트홈 표준화 동향
(1) 스마트홈 표준화 필요성
(2) 스마트홈 표준화 목표 및 기대효과
(3) 스마트홈기기의 상호운용의 필요성
2) 국내 표준 제정 현황
(1) 지능형홈 국가 표준인증 연구회
(2) 제정 표준현황
3) 해외 표준 제정 현황
(1) 스마트홈 플랫폼
(2) 스마트홈 네트워크
(3) 그린홈
4) 스마트홈 관련 특허 동향
1-3. 스마트 센서
1) 스마트홈과 관련센서
2) 센서 개요
3) 국내외 센서 시장동향
(1) 글로벌 센서 시장
(2) 국내 센서 시장
4) 국내외 센서 기술동향
(1) 글로벌 센서 기술현황
(2) 국내 센서 기술현황
5) 산업별 스마트 센서 적용현황
(1) 이미지 센서
(2) 관성 센서
(3) 헬스케어 센서
(4) 바이오센서
6) 헬스케어 부문 센서
(1)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2) 헬스케어 관련 스마트폰 센서
2. 스마트홈 관련 주요 디바이스 동향
2-1. 스마트홈과 디바이스
2-2. 스마트폰 시장동향 및 전망
1) 최근 이슈 및 트랜드
2) 2014년 스마트폰의 변화
(1) 디스플레이
(2) 카메라 모듈
(3) AP(Application Processor)
(4) NFC(Near Field Communication)
(5) 메탈 케이스
(6) 무선 충전
3) 주요 업체별 대응 전략
(1) 삼성전자
(2) APPLE
(3) LG전자
(4) 중국 업체
4) 2014년 주요기관의 시장 전망
5) 스마트폰 기술현황
(1) 이동통신 기술
(2) 유무선 통신 기술
(3) Tethering
(4) Display
(5) AP
(6) Memory
(7) 멀티미디어 접속 단자
(8) Sensor
(9) Battery
2-3. 태블릿PC 시장동향 및 전망
1) 최근 이슈 및 트랜드
2) 주요업체 시장점유율
3) 2014년 주요 기관의 시장전망
2-4. 기타 스마트홈 관련기기
1) 키오스크
(1) 개요
(2) 키오스크 종류
(3) 스마트홈 적용동향
2) 월패드
3) 디지털도어록
(1) 개요
(2) 시장동향
4) 무인택배시스템
(1) 개요
(2) 스마트홈 적용동향
5) 스마트홈 관련 주요기업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