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되는 글로벌 전기차와 관련 시장 실태와 전망 -완성차 업체 중심-
완성차 업체를 중심으로
관련기관의 전망과 전문가의 예상은 일단 2014년 전기차 시장을 낙관적으로 보는 것은 공통된 인식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전기차 관련 핵심부품과 배터리, 충전 인프라, 전기차 개조 사업 등 관련 분야에서 신규시장이 성장할 여지는 매우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국내 관련기업에게는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될 것임에 틀림없다.
머리말
2013년 말에 접어들면서 전기차 시장이 국내외에서 새롭게 주목을 받으며, 본격적인 성장국면으로 접어들었다는 긍정적인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이는 배터리 용량 등 기술적인 문제와 높은 가격, 1회 충전 후 주행 가능거리, 충전인프라 등 관련 산업의 문제점과 한계로 인하여 장기간 전기차 성장이 부진할 것이라는 일반의 예상을 빠르게 전환시켜주는 것으로, 이는 2013년 대표적인 전기차 전문 기업인 미국의 테슬러가 기대 이상의 판매실적을 보였고, BMW등 럭셔리 자동차 기업에서도 본격적으로 순수 전기차 i3 출시하고, GM등 주요 기업에서 전기차 가격을 인하 하는 등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선 것에 힘입은 바 커 보인다. 이에 따라 VW 등 전통적인 자동차 강자도 2014년을 향한 전기차 신차 계획을 본격 발표하고 나섰으며, 닛산 등 일본 기업도 동참하는 분위기로 이어지고 있다.
무엇보다 테슬라가 촉발한 시장의 변화, 즉 럭셔리 세단 전기차를 출시하여, 기존에 경차위주의 전기차시장이라는 이미지를 불식시킨 것은 2013년의 중요한 사건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도 2013년 하반기에 기아의 레이 외에 르노삼성과 한국GM에서 각각 신형 전기차 모델을 잇따라 출시한데 이어, 제주도에서는 일반 소비자용으로 시범 판매되면서 관심 고조에 일조하고 있으며, BMW도 i3를 2014년 한국에서도 출시하기로 하였다. 이에 현대자동차는 그동안 연료전지자동차 개발에 집중한다는 장기 전략 속에서도 2014년 쏘울 기반 전기차를 출시하고 연이어 아반테급과 소나타급 등 준중형이상의 세단형 전기차 출시 계획 등도 연이어 발표하여 시장 반응을 모니터링 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전히 충전인프라보급 등 대중화의 길은 먼 것이 사실이지만, 전기차 쉐어링, 택시시범보급사업 등 다양한 보급사업과 보조금 정책 등으로 소비자 인식은 크게 개선되고 있으며, 특히 보조금지급에 따른 구입가격 하락과 매우 낮은 연료비등 유지비 등은 여전히 매력적인 장점이다
관련기관의 전망과 전문가의 예상은 일단 2014년 전기차 시장을 낙관적으로 보는 것은 공통된 인식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전기차 관련 핵심부품과 배터리, 충전 인프라, 전기차 개조 사업 등 관련 분야에서 신규시장이 성장할 여지는 매우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국내 관련기업에게는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될 것임에 틀림없다.
2013년은 확대되는 전기차시장에 주도적인 대응전략 수립이 매우 요구되는 시점이며, 정부와 관련 업계는 유망기술 표준화와 제도정비 등을 빠르게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전기자동차 시장의 최근 동향과 전망을 정리 분석한 본서가 관련 기업체와 관심을 갖고 있는 모두에게 작은 도움이라도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아울러, 전기자동차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부품과 관련사업 추진업체들에 대해서는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좀 더 상세하게 다루어 소개 할 것을 약속드린다.
목차
Ⅰ. 전기자동차(xEV) 산업 개황
1. 본격화하는 전기차 시장 최근 동향과 주요 이슈
1-1. 글로벌 전기차 관련 최근 동향과 주요 이슈
1) 본격화 하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
(1) 2013년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 판매동향
(2) 테슬라가 불붙인 2013년 전기차 시장
(3) 전기차 가격인하와 고급형 출시 경쟁
2) 전기차 관련 부품, 인프라시장도 활기
(1) 자동차용 2차전지 수요 확대
(2) 충전 기술과 충전 인프라 시장
(3) 전기차 개조시장
1-2. 국내 전기차 관련 최근 동향과 주요 이슈
1) 국내 전기차 시장 본격 활성화 예고
(1) 국내 출시 예정 전기차 3종 성능 비교
(2) 제주 민간판매 시작
(3) 전기택시 시범운행과 본격운행 시동
2) 충전 인프라와 충전방식 표준 논쟁 격화
(1) 충전 인프라
(2) 표준 제정 논쟁
2. 전기자동차 개요
2-1. 전기자동차 등장 배경
1) 지구 온난화
2) 기후 변화에 관한 국제연합 기본 협약
3) WBCSD, 에너지·기후변화 정책 방향 제시
(1) 지속가능한 이동력의 필요성
2-2. 전기자동차 장점과 단점
1) 장점
(1) 친환경성
(2) 경제적인 운행비용 및 유지비
(3) 저속 출력 성능 및 효율 등 성능 면에서 우수
2) 단점
(1) 짧은 주행거리(1회 충전거리)
(2) 고가의 차량 가격
(3)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미비
(4) 자동차 중량
3) 전기자동차(EV)와 내연기관 자동차(ICEV)의 차이점
2-3. EV의 개발 연혁
1) Ⅰ단계(1828년 ~ 1900년대 초반) : 태동 및 활동기
2) Ⅱ단계(1900년대 초반 ~ 2008년) : 암흑기
3) Ⅲ단계(2008년이후 ~ 현재) : 재조명기
2-4. 전기자동차 구조 및 종류
1) 전기자동차 구조와 기능
2) 주요 부분, 부품별 구조 및 기능
(1) Battery
(2)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3) Powertrain(Electric Motors 와 TM)
(4) 인버터
(5) 충전기/충전인프라
3) xEV의 분류와 종류
(1) Battery EV (All EV, BEV)
(2) Plug-In Hybrid(PHEV)
(3) Hybrid EV (HEV)
(4) EREV(Extended Range EV, 주행거리 연장형 EV)
(5) 연료 전지차(FCEV)
(6) NEV(저속 EV, Neighbourhood EV)
2-5. 최근의 글로벌 xEV 출시현황
1) 주요 글로벌 xEV 제원비교
3. xEV 관련 유망 시장 동향
3-1. 충전 시스템(Charging System), 충전 인프라 개발과 보급동향
1) 충전 시스템의 정의와 필요성
(1) 정의
(2) 필요성
2) 충전 시스템의 분류
(1) 접촉식 충전시스템
(2) 유도식 충전시스템
(3) 배터리 교환방식
(4) V2G(Vehicles to Grid)로서의 EV
3) 주요국별 충전 인프라 개발과 보급동향
(1) 북미지역
(2) 유럽지역
(3) 일본
4) 국내 충전기술, 인프라 개발과 보급동향
(1) 충전 기술 개발 동향
(2) 충전 인프라 설치 동향
(3) 관련 사업 참여업체
5) 충전방식의 표준화 동향
(1) 충전시스템에 대한 국제 표준
(2) 커넥터 및 인렛 표준
(3) 미국, 일본, 중국, 유럽의 표준화 동향
(4) 국내 표준화 동향
3-2. 전기차 개조시장
1) 국내 동향
(1) 개조 전기자동차 보급을 위한 정책 동향
(2) 개조 전기자동차 기술 개발 및 보급 현황
2) 해외 동향
(1) 미국의 Plug-In Hybrid 자동차 개조 사업
(2) 미국의 우편 택배 자동차 개조사업
(3) 일본의 우편 택배 자동차 개조사업
(4) 기타 전기차 개조업 현황
3) xEV 개조 시장 향후 전망
4. xEVs 안전성 및 안전기준
4-1. EV 안전성 평가기술 및 동향
1) 고전원전기장치의 충돌시험기준
2) 구동축전지(배터리) 안전성 기준
3) 고전원 전기장치 안전성 기준
4) 전자파 안전성 기준
5) 원동기(구동전동기) 출력 기준
6) 저소음 자동차 소리발생장치 기준
7) 결론
4-2. xEVs Battery의 안전기준
1) 개요
2) 국내 구동 축전지 안전기준 동향
3) 해외 구동 축전지 안전기준 동향
4) 과제와 전망
Ⅱ. 국내외 xEV 시장 실태와 전망
1. 글로벌 전기차 시장 현황과 전망
1-1. 개관
1) 2013년 상반기 전기차 판매 동향
2) 2012년 전기차 시장 판매동향
(1) 지역별 판매량으로 본 2012년 시장 현황
(2) 차급별 판매 비율로 본 2012년 시장 현황
(3) 업체별 판매 비율로 본 2012년 시장 현황
3) 글로벌 부품업체 친환경 부품 개발 주요 동향
1-2. 지역별 xEV 시장 동향
1) 북미지역 xEV 시장 현황
2) 유럽지역 xEV 시장 현황
3) 아시아 지역 xEV 시장 현황
(1) 중국
(2) 일본
1-3. 전기자동차 Type별 시장 현황
1) HEV, PHEV
2) EV
3) 전기차 개조시장 확대
1-4. 글로벌 xEV 시장 전망
1) 글로벌 xEV 시장전망
2) 주요 지역별 전기차 시장 전망
(1) 일본
(2) 유럽
(3) 북미
(4) 중국
3) 전기자동차용 부품 및 인프라 시장 전망
(1) 전기자동차 인프라
(2) 전기자동차 주요 핵심부품
4) 국내 주요기관의 xEV 시장 평가와 전망
(1)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의 시장 평가와 전망
(2)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KARI)의 시장 평가와 전망
1-5. 주요국의 xEV시장 지원 정책 동향
1) 미국
2) 유럽
3) 일본
4) 중국
2. 국내 xEV 시장 현황과 전망
2-1. 국내 xEV 산업 동향과 전망
1) 정책동향
2) 주요 기업 동향
(1) EV 업체
(2) Battery 업체
(3) 구동 모터 업계
(4) BMS 업계
3) 한국의 xEV 시장 전망
2-2. 국내 전기차 관련 요소기술 경쟁력 평가
1) xEVs 관련 주요 핵심기술
(1) 주요 핵심기술의 분류
(2) 국내외 전기차 관련 요소기술 개발 방향
2) 국내 전기자동차 기술 경쟁력 수준
(1) 종합
(2) 주요 전기자동차 품목별 기술경쟁력
3) 부품별 경쟁력과 기술개발 동향
(1) 개요
(2) 배터리 부품
(3) BMS
(4) 구동모터
(5) 인버터
(6) 충전기/충전인프라
4) 과제와 전망
2-3. 국내 전기차 관련 연구개발 동향
1) xEV 관련 국내 R&D 전략
(1) 전기차 핵심 원천기술개발
(2) 핵심부품 국산화 지원 및 효율향상
2) 분야별 전략
(1) HEV, PHEV 분야
(2) 전기자동차 분야
3) 국내 전기차 업체별 R&D 현황
(1) 현대자동차
(2) 기아자동차
(3) GM Korea
(4) 르노삼성
4) EREV 기술 개발 동향
(1) EREV 기술 개발의 필요성
(2) 국내 EREV 산업 육성 전략
(3) 국내 기술 개발 동향
5) 최근의 연구 개발 동향
(1) 접는 전기자동차 '아마딜로-T'
(2) 소형 전기자동차에 의한 Co-mobility 사회의 설계
(3) 무선 충전 전기자동차(OLEV, Online Electric Vehicle) 시험운행
2-4. 국내의 전기차 산업 관련 지원동향
1) 정부
2) 지방자치단체
3) 과제와 전망
(1) 충전 인프라 구축 확대 필요
(2) 국내외 전기자동차 표준화 활동 증진
(3) 지방자치단체 전기자동차 산업에 대한 구조조정
(4) 정책의 일원화, 집중과 추진의지
Ⅲ. 글로벌 xEVs 기술개발 동향
1. 주요 지역, 국가별 전기차 기술개발 동향
1-1. 개요
1-2. 주요 지역, 국가별 전기차 기술개발 동향과 전략
1) 미국
(1) 정책 동향
(2) 기술개발 동향
(3) 주요 업체별 개발 현황
2) 유럽(EU)
(1) 정책동향
(2) 기술개발 동향
(3) 주요 업체별 개발 현황
(4) 최근 주요 동향
3) 일본
(1) 정책동향
(2) 기술개발 동향
4) 중국
(1) 정책동향
(2) 기술개발 동향
2. 전기차 핵심 부품별 기술개발 동향
2-1. 2차전지(Battery)
1) xEV용 Battery의 종류
2) xEV용 Battery의 특징
3) 배터리 관련 기술개발 동향
(1) xEVs 종류별 배터리 기술
(2) 배터리 차량 적용 기술
(3) 과제와 전망
4) 주요 업체별 배터리 개발과 채용 동향
2-2.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1) BMS의 정의
2) BMS의 기능
(1) 열관리 제어기술
(2) 배터리 충전상태(SOC: State Of Charge) 제어기술
(3) 통신과 제어기술
3) BMS의 구조
4) 주요국 업체별 BMS 개발과 채용 동향
(1) 미국
(2) 유럽
(3) 일본
(4) 중국
2-3. 구동장치(Powertrain - Motor, Transmission, Inverter)
1) 구동 Motor
(1) 정의 및 범위
2) 변속기(Transmission)
(1) 변속기 필요성 지속
(2) 변속기 기술의 특징
(3) 자동차용 변속기 발전과정
(4) 변속기의 지역별 선호도
(5) 차세대 변속기별 기술 특성과 업체 동향
(6) 주요 업체별 변속기 개발과 채용 동향
(7) 과제와 전망
3) 인버터(Invertor) / 컨버터(convertor)
(1) 정의 및 범위
3. xEVs 관련 특허와 표준화 동향
3-1. xEVs 관련 특허 동향
1) HEV, PHEV 기술 특허 분석
2) BEV 기술 특허 분석
3-2. xEVs 관련 표준화 동향
1) 국제기구의 표준화 동향
2) 국내 표준화 동향 과 대응
Ⅳ. 글로벌 xEV 생산업체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1. 국내 주요 xEV 생산업체 개발동향과 사업 전략
1-1. 국내 완성차 업체의 사업현황과 전략
1) 현대자동차(주)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2) 기아자동차㈜
(1) 일반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3) 르노삼성자동차(주)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4) 한국GM(주) (GM Korea Co.)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5) 쌍용자동차(주)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1-2. 국내 전기차 전문업체의 사업현황과 전략
1) ㈜에코넥스 (ECONEX Co.,Ltd.)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2) ㈜AD모터스
(1) 일반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3) ㈜레오모터스 (LEO Motors Korea Inc.)
(1) 일반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4) ㈜그린카클린시티 (Green Car Clean City Co., Ltd.)
(1) 일반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5) 어울림모터스 (어울림네트웍스(주))
(1) 일반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2. 해외 주요 xEV 생산업체 개발동향과 사업 전략
2-1. 북미지역 주요 생산업체의 사업현황과 전략
1) General Moters(GM) (미국)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2) Ford Motor Company(미국)
(1)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3) Chrysler LLC (Fiat S.p.A.의 자회사, 미국)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EV, HEV 생산 판매 현황
4) Tesla Motors(미국)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5) Fisker Automotive, Inc.(미국)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6) Aptera Motors Inc.(미국)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및 생산 현황
7) Azure Dynamics Corporation(미국)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및 생산 현황
8) CODA Automotive Inc.(미국)
(1) 일반 현황
(2) 전기차 개발동향
2-2. 유럽지역 주요 생산업체 사업현황과 전략
1) Daimler AG (독일)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2) BMW AG(독일)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3) Volkswagen AG(독일)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4) AUDI AG (독일)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5) PORSCHE AG(독일)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6) Renault Group(프랑스)
(1) 일반 현황
(2) 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4) Powertrain, 배터리 및 충전 시스템 개발동향
7) Volvo Car Corporation(스웨덴)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8) PSA Group(Peugeot Citroën Automobiles,프랑스)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9) FIAT S.p.A.(Fabbrica Italiana Automobili Torino) (이태리)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10) SAAB Automobile AB(스웨덴)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11) Think Global(노르웨이)
(1) 일반 현황
(2) EV 개발 및 생산 현황
2-3. 아시아 지역 주요 생산업체 사업현황과 전략
1) Toyota Motor Corporation TMC (일본)
(1) 일반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2) Honda Motor Co., Ltd. (일본)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3) Nissan Motor Co Ltd. (일본)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4) Mitsubishi Motors Co. (일본)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5) Subaru - Fuji Heavy Industries(일본)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6) Isuzu Motors Ltd. (일본)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7) Mazda Motor Corporation(일본)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8) Beijing Automotive Industry Holding Co., Ltd. (중국)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9) SAIC Motor Corporation Ltd. (상하이자동차, 중국)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10) BYD Auto Co Ltd. (중국)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11) Chery Automobile Co., Ltd. (중국)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12) Changan Automobile (Group) Co., Ltd.(중국)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13) FAW Group Corporation (제일기차,중국)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14) Dongfeng Motor Corporation (DFM:동펭기차,중국)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15) Tata Motors Limited(인도)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
16) Mahindra & Mahindra Limited (M&M,인도)
(1) 일반 현황
(2) xEV 개발 연혁 및 현황
(3) xEV 생산 및 판매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