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망 실버용품 시장현황과 전망
고령친화용품, 복지용구를 중심으로
인구 고령화는 65세 이상 인구의 증가뿐 아니라 출산율 하락으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사회·경제·문화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10년 세계 연령계층별 인구비중은 15~64세가 65.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0~14세 인구 26.9%, 65세 이상 인구 7.6% 순이었다. 그러나 2050년에 이르면14세의 인구비중은 19.6%로 줄어드는 반면 65세 이상 인구비중은 16.2%로 늘어나는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머리말
인구 고령화는 65세 이상 인구의 증가뿐 아니라 출산율 하락으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사회·경제·문화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10년 세계 연령계층별 인구비중은 15~64세가 65.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0~14세 인구 26.9%, 65세 이상 인구 7.6% 순이었다. 그러나 2050년에 이르면 0~14세의 인구비중은 19.6%로 줄어드는 반면 65세 이상 인구비중은 16.2%로 늘어나는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 2000년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2%에서 2010년 11.0%로 증가추세를 보여 왔으며 향후 2018년에는 14.3%, 2026년에는 20.8%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어 2050년에는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38.2%로 세계 최고의 고령국가가 될 전망이다.
이러한 고령사회로의 변화는 퇴직 이후 경제적 불안으로 인한 노인빈곤에 따른 소비와 저축의 감소, 노동력 부족과 노인부양비의 증가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지만, 높은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을 보이고 있는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는 새로운 수요창출, 의료수요의 증가, 생활욕구의 다양화로 위기와 기회의 양면성을 가지고 있어 ‘고령친화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요인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령친화산업 시장규모는 2010년 기준 33조2,241억원에 달하는데 이중 고령친화용품산업의 시장규모는 2010년 1조9,711억 원(비중 5.9%)에서, 2020년에는 2조 8,322억 원(비중 2.3%)으로 연평균성장률이 3.7%로 전망되고 있다. 고령친화용품이란‘ 고령자를 대상으로 건강관리, 수발, 일상생활, 여가⋅문화생활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고령자의 정신적, 신체적 특성을 배려한 용품’을 말한다.
한편, 복지용구는 심신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지장이 있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자에게 일상생활 또는 신체활동 지원에 필요한 용구로써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것을 구입하거나 대여하여 주는 것이다.
이에 당사는 본 보고서가 실버용품 및 관련 산업에 관심이 있는 관련기관․업체의 실무담당자에게 사업전략 수립과 시장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목차
Ⅰ. 고령화 실태와 전망23
1. 고령화 정의23
1-1. 인구 고령화 현황23
1-2. 세계 고령화 동향24
1) 노인인구 비중24
2) 노인부양비25
3) 건강수명26
4) 건강지출27
5) 고령자 고용 비율27
6) 중국 고령화 현황29
7) 미국 고령화 현황30
2. 국내 고령화 현황32
2-1. 고령자 인구현황32
1) 연령계층별 인구 및 고령가구32
2) 성별 고령인구34
3) 노년부양비 및 노령화지수35
4) 시․도 및 시․군․구별 65세 이상 인구36
5) 65세 이상 이혼․재혼 건수37
2-2. 고령자 보건현황38
1) 기대여명38
2) 사망원인40
3) 건강보험 상 의료비 추이42
4) 건강평가 및 관리43
5) 흡연, 음주 및 유병여부44
6) 스트레스 정도(전반적인 생활) 45
2-3. 고령자 노동현황47
1) 경제활동참가율 및 지위47
2) 취업의사 및 이유48
3) 일자리 선택기준49
2-4. 고령자 복지현황51
1)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51
2) 공적연금 수급자52
3) 노후준비 방법52
4) 생활비 마련 방법53
2-5. 생활시간 사용실태 국제비교55
1) 국가별 하루 생활시간55
2) 국가별 주요 가사노동시간 55
3) 국가별 주요 여가활동시간56
3. 장래인구추계58
3-1. 총인구와 인구성장률58
3-2. 자연증가와 국제이동 60
3-3. 연령구조62
3-4. 연령계층별 인구64
3-5. 생산가능인구66
3-6. 고령인구69
3-7. 부양비 및 노령화 지수71
3-8. 국제비교72
3-9. 고령가구 가구유형74
Ⅱ. 고령화친화산업 현황과 전망79
1. 고령친화산업 현황79
1-1. 개요79
1-2. 고령친화산업의 범위 및 분류체계80
1) 분류체계 설정의 개요80
2) 분류현황 조사․분석81
3) 분류체계 설정84
1-3. 고령친화산업 시장규모 및 전망87
1) 고령친화산업 시장규모 및 전망87
2) 고령친화 세부산업별 시장규모 및 전망89
(1) 고령친화 요양산업89
(2) 고령친화 의약품산업89
(3) 고령친화 의료기기산업90
(4) 고령친화 화장품산업91
(5) 고령친화 식품산업92
(6) 고령친화 여가산업92
(7) 고령친화 금융산업94
(8) 고령친화 주거산업95
(9) 고령친화 용품산업95
2. 고령친화제품 육성정책97
2-1. 고령친화제품 사용성평가시스템 개발·운영97
1) 사업개요97
2) 2011년도 추진실적97
3) 2012년도 추진계획98
2-2. 고령친화산업 통계생산 구축 및 R&D 확대 (신규)①99
1) 사업개요99
2) 2012년도 추진계획99
2-3. 고령친화 제품 및 서비스 표준화100
1) 사업개요100
2) 2011년도 추진실적101
3) 2012년도 추진계획101
2-4. 국제표준화 활동 강화102
1) 사업개요102
2) 2011년도 추진실적103
3) 2012년도 추진계획104
2-5. 우수제품 지정·표시제도 확대104
1) 사업개요104
2) 2011년도 추진실적104
3) 2012년도 추진계획105
2-6. 우수제품 및 우수사업자105
1) 사업개요105
2) 2011년도 추진실적106
3) 2012년도 추진계획107
2-7. 화장품 관련 수출지원 등 항노화 산업 육성108
1) 사업개요108
2) 2012년도 추진계획109
2-8. 산업박람회 홍보관 운영 내실화 및 지역사회 밀착형 전시·체험관 운영110
1) 사업개요110
2) 2011년도 추진실적111
3) 2012년도 추진계획112
2-9. 고령친화제품·서비스 종합체험관 운영 활성화112
1) 사업개요112
2) 2011년도 추진실적113
3) 2012년도 추진계획113
2-10. 고령친화 해외시장 개척지원114
1) 사업개요114
2) 2011년도 추진실적114
3) 2012년도 추진계획115
2-11. 특수용도식품 중 고령자용 식품기준·규격 신설115
1) 사업개요115
2) 2011년도 추진실적116
3) 2012년도 추진계획116
2-12. 고령자용 식품 신규시장 창출 및 시장 활성화117
1) 사업개요117
2) 2011년도 추진실적117
3) 2012년도 추진계획119
Ⅲ. 고령친화용품 산업 현황과 전망123
1. 고령친화용품 개요123
1-1. 고령친화용품 개요123
1) 고령친화용품산업의 범위123
2) 복지용구125
1-2. 고령친화용품 종류133
1) 개요133
2) 고시내용133
1-3. 고령친화용품 업체현황149
2. 고령친화용품 제품현황153
2-1. 수동휠체어 153
1) 수동휠체어 개요153
2) 수동휠체어 기능 및 종류154
3) 수동휠체어 시장동향156
4) 휠체어 사용자 설문조사 결과158
(1) 휠체어 구입 시 고려사항159
(2) 사용설명서 159
(3) 사용방법 교육159
(4) 평균 사용시간159
(5) 사용 시 불편한 신체부위160
(6) 신체손상 경험160
(7) 신체손상의 유형160
(8) 외출시 불편한 점160
(9) 휠체어 고장여부160
(10) 주요 고장 부위161
(11) 고장처리 유형161
(12) 사용중인 휠체어 불편한 점161
(13) A/S 만족도161
(14) 제작 고려사항162
5) 복지용구 제품 동향162
2-2. 성인용보행기 176
1) 보행보조차176
2) 보행차178
3) 복지용구 제품 동향180
2-3. 지팡이 199
1) 지팡이 개요199
2) 복지용구 제품 동향200
2-4. 자세변환용구 215
1) 자세변환용구 개요215
(1) 자세변환용 시트215
(2) 자세변환용 쿠션215
(3) 자세변환용 보드215
(4) 자세변환용 벨트215
(5) 자세변환용 전동매트216
2) 복지용구 제품 동향216
2-5. 전동침대 228
2-6. 수동침대 244
2-7. 미끄럼 방지용품 250
1) 미끄럼 방지용품 개요250
2) 복지용구 제품 동향251
2-8. 안전손잡이 266
1) 안전손잡이 개요266
2) 복지용구 제품 동향266
2-9. 욕창예방 매트리스 279
1) 욕창예방 매트리스 개요279
2) 복지용구 제품 동향279
2-10. 욕창예방방석 287
1) 욕창예방방석 개요287
2) 복지용구 제품 동향287
2-11. 이동욕조 292
1) 이동욕조 개요292
2) 복지용구 제품 동향293
2-12. 목욕의자 295
1) 목욕의자 개요295
2) 복지용구 제품 동향296
2-13. 목욕리프트 303
1) 목욕리프트 개요303
2) 복지용구 제품 동향303
2-14. 이동변기 304
1) 이동변기 개요304
2) 복지용구 제품 동향304
2-15. 간이변기 312
1) 간이변기 개요312
2) 복지용구 제품 동향312
3. 고령친화제품 업체현황316
Ⅳ. 부록 - 관련자료 및 통계367
1. 의료기기산업 통계367
2. 국내 인구전망 통계412
3 노인요양시설 관련 현황450
3-1. 노인요양시설 관련 주요 법규450
1) 노인복지법450
2) 노인장기요양보험법451
3) 노인요양시설 서비스 KS인증제 도입ㆍ시행(2011.11.16)452
3-2. 노인요양시설 현황453
4. 고령친화제품 예비(보정) 심사 판정방법 및 평가표455
4-1. 판정방법455
4-2. 예비(보정) 심사평가서456
4-3. 예비(보정) 심사평가표457
1) 공통항목457
2) 전동침대, 수동침대458
3) 욕창예방매트리스460
4) 수동휠체어461
5) 이동욕조462
6) 목욕리프트463
7) 욕창예방방석464
8) 보행차465
9) 보행보조차466
10) 이동변기467
11) 간이변기468
12) 미끄럼방지용품469
13) 안전손잡이470
14) 지팡이471
15) 자세변환용구472
16) 목욕의자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