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의료 미국의 제약산업 동향
- 관리자 (irsglobal1)
- 2018-12-23 16:55:00
- hit1707
- 221.160.87.213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제약시장이며, 가장 선도적인 연구개발 베이스이다. 총 시장 규모와 유사하게 미국의 1인당 의약품 지출 수준은 세계최고 수준이며, 혁신적인 제약 기업의 브랜드 제품에 대해 선호도가 높다. 구체적으로 미국의 의약품 지출은 2018년 3.2% 증가하여 3,850억 달러를 기록하고, 1인당 지출은 1,179달러로 추정된다.
- - 시장 구조로는 특허 보유 의약품이 시장의 75%를 차지하고 있으며, 제네릭(generic) 의약품이 증가하더라도 그 규모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제약산업은 GDP의 1.9%로 세계 평균인 1.5%를 상회하고 있으며, 2027년까지 GDP대비 비율은 특허제품의 만료에 따라 1.7%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 - 정책요인으로는 미국의 의료개혁 결과로 의료서비스 접근성이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 보험 공급자의 재정부담증가, 소비자 지출증가율 둔화, 시장성숙 등은 미국 제약시장의 정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더불어 장기적으로 주정부 의료에 대한 정부의 개입이 확대되면서 가격규제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이익률이 악화될 것이며, 이로인해 제네릭 의약품 기업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 - 미국의 제약회사들은 리베이트와 산업 수수료를 상쇄하기위해 미국에서 가격을 비공식적으로 인상하였으나, 비용 때문에 미국의 취약계층(실업자나 보험이 없는 사람)이 비용때문에 처방전을 작성하지 않아 부분으로 매출 성장이 둔화되었다. 이 밖에도 특허만료, 규제감시 확대 및 의료개혁과 같은 미국 처방의약품 판매에 대한 하향압력으로 인해 미국 제약기업들은 신흥시장으로의 확장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새로운 고비용 제품의 승인은 제약시장의 성장을 이끄는 요인이지만 미국의 베스트셀러 제품에 대한 특허만료는 산업의 성장에 큰 압박요인이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이고 보편적인 건강보험제도 실행은 미국의 건강보험이 없는 4,200만 인구가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부상하게 할 수 있다.
[차세대 전략산업, 바이오 의약 분야별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보고서 상세보기
http://www.irsglobal.com/shop_goods/goods_view.htm?category=05000000&goods_idx=81904&goods_bu_id=
게시글 공유
URL복사
번호 | 분류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수 |
---|---|---|---|---|---|
532 | etc | 농업 분야에서의 AI 활용 사례 photo | 관리자 | 2021-01-05 | hit178 |
531 | ICT/정보통신 | ‘Robotics Transformation(RX)’로 변화하는 건설업 photo | 관리자 | 2021-01-05 | hit339 |
530 | ICT/정보통신 | 로봇의 도입이 코로나 사태로 인해 건설 현장에서도 가속화 photo | 관리자 | 2021-01-05 | hit229 |
529 | ICT/정보통신 | 토목ㆍ건설 업계에서 진행되는 드론의 활용 - 주목받는 이유와 도입 시 주의할 점 photo | 관리자 | 2021-01-05 | hit190 |
528 | ICT/정보통신 | 건설 현장에서 드론을 이용할 때 확인해야 하는 5가지(일본) photo | 관리자 | 2021-01-05 | hit152 |
527 | 바이오/의료 | 미국 HIPAA 규칙 개정으로 보는 의료 프로세스의 DX 추진과 개인 건강 기록 보호의 균형 photo | 관리자 | 2020-12-08 | hit350 |
526 | 자동차/로봇 | 인간은 사이보그가 될 수 있을까? ‘신체 확장’의 가능성 photo | 관리자 | 2020-12-08 | hit320 |
525 | ICT/정보통신 | 어댑티브 러닝(적응학습)에서의 AI 활용 사례 <해외 편> photo | 관리자 | 2020-12-08 | hit386 |
524 | ICT/정보통신 | ICT로 교육이 변화하고 있다. 현재 주목 받고 있는 에듀테크(EduTech)~ photo | 관리자 | 2020-12-08 | hit5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