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환경 글로벌 신재생(재생 가능) 에너지 시장동향
- 관리자 (irsglobal1)
- 2018-10-25 21:25:00
- hit2445
- 112.171.243.46
주요국별 신재생(재생가능)에너지 용량을 살펴보면, 중국이 618.80GW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미국 229.91GW, 브라질 128.29GW, 독일 113.06GW, 인도 106.28GW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 국가에너지국(NEA)의 “2018년 에너지업무지도의견(2018.2.26.)”은 2018년 중국의 에너지정책 기조로 ①에너지공급부문 개혁 지속, ②에너지공급의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 전환, ③청정에너지 확대 등을 제시하고 있다.
<그림1> 주요국별 재생가능 에너지 용량 (2017년 기준, GW)
자료 : IRENA, 2017
아래 통계는 전세계 에너지 생산 중 신재생(재생가능)에너지가 차지하고 비중을 보여주고 있다. 2007년 5.2%에서 연평균 8.8% 증가률을 보이며 2015년에 10%에 이르렀으며 2017년에는 12.1%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2> 세계 에너지 생산 중 신재생(재생가능)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 추이 (단위: %)
자료 : Bloomberg New Energy Finance, 2018.04
아래 통계는 세계 재생 가능 에너지 소비량 추이이다. 1988년 44.4M/T에서 연평균 13.4% 증가율을 보이며 2017년 486.8M/T까지 확대되고 있다.
<그림3> 세계 신재생(재생가능) 에너지 소비량 추이(단위: in million metric tons)
자료 :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8
아래 통계는 2016년 주요국별 태양광 발전 (누적)용량 추이이다. 역시 중국이 77.4GW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일본 42.8GW, 독일 41.3GW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4> 주요 국가별 누적 태양광 발전량(2016년 기준) (단위: GW)
자료 : REN21, Renewables 2017 Global Status Report
<그림5> 국가별 신규 태양광 발전량 비중 (단위: %)
자료 : REN21, Renewables 2017 Global Status Report
아래 통계는 세계 풍력 발전 (누적)용량 추이이다. 2001년 24,322MW에서 연평균 21.4% 증가율을 보이며 2017년 540,000MW까지 확대되고 있다.
<그림6> 글로벌 풍력 발전량(누적) (2016년 기준) (단위: MW)
자료 : WWEA, wwindea.org (Jun 2017)
<그림7> 주요 국가별 풍력 발전량(누적) (단위: MW)
자료 : GWEC, Global Wind Statistics 2016
[2018 신재생에너지 분야별 시장동향과 유망 기술개발 및 기업 현황] 보고서 상세보기
http://www.irsglobal.com/shop_goods/goods_view.htm?category=04000000&goods_idx=82172&goods_bu_id=
번호 | 분류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수 |
---|---|---|---|---|---|
536 | 에너지/환경 | 수소의 미래 photo | 관리자 | 2021-01-22 | hit80 |
535 | ICT/정보통신 | 설명 가능한 AI란? - Google의 ‘Explainable AI’를 통한 해설 photo | 관리자 | 2021-01-22 | hit121 |
534 | 에너지/환경 | 장기적으로 기후 중립성을 달성하는 연료전지 파워트레인 photo | 관리자 | 2021-01-22 | hit119 |
533 | 에너지/환경 | 2021년은 수소 시대의 원년 photo | 관리자 | 2021-01-22 | hit186 |
532 | etc | 농업 분야에서의 AI 활용 사례 photo | 관리자 | 2021-01-05 | hit276 |
531 | ICT/정보통신 | ‘Robotics Transformation(RX)’로 변화하는 건설업 photo | 관리자 | 2021-01-05 | hit517 |
530 | ICT/정보통신 | 로봇의 도입이 코로나 사태로 인해 건설 현장에서도 가속화 photo | 관리자 | 2021-01-05 | hit327 |
529 | ICT/정보통신 | 토목ㆍ건설 업계에서 진행되는 드론의 활용 - 주목받는 이유와 도입 시 주의할 점 photo | 관리자 | 2021-01-05 | hit277 |
528 | ICT/정보통신 | 건설 현장에서 드론을 이용할 때 확인해야 하는 5가지(일본) photo | 관리자 | 2021-01-05 | hit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