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부상하는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시장/기술 동향과 참여업체 사업전략
자동차산업이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이 끊임없이 연결되는 이른바 ‘하이퍼 커넥티드(Hyper-Connected)’ 시대가 본격 도래하면서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TV, 게임기, 로봇에 이어, 자동차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이해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와 연동하면서 서비스와 콘텐츠를 공유 ․ 활용하고, 상호 작용하는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새로운 형태의 사업기회가 생겨나고 있다.
머리말
최근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가 자동차업계 뿐 아니라 통신업체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자동차산업이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이 끊임없이 연결되는 이른바 ‘하이퍼 커넥티드(Hyper-Connected)’ 시대가 본격 도래하면서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TV, 게임기, 로봇에 이어, 자동차도 하나의 디바이스로 이해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와 연동하면서 서비스와 콘텐츠를 공유 ․ 활용하고, 상호 작용하는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새로운 형태의 사업기회가 생겨나고 있다.
커넥티드 카의 개념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자동차로, 자동차가 다른 스마트 기기들과 마찬가지로 서비스 플랫폼으로 변모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대표적인 사례로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자동차로 들 수 있고, 3G/4G나 Wi-Fi 등 다양한 방법의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커넥티드 카는 하이퍼 커넥티드(Hyper-Connected)’ 시대에 커넥티드 디바이스의 중심축으로 빠르게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미 일본 시장의 경우에는 가장 빠르게 월정액 형태의 저렴한 요금제까지 출시되면서, 미래형 서비스가 아니라 가격 장벽이 크지 않은 대중화 서비스로서 추진되고 있다.
ABI Research 발표 자료에 따르면,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은 2011년말 4,500만대에서 2016년까지 2억 1,000만대로 36%의 연평균 증가율을 보이며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또한 최근 이통사와 완성차 업체들은 다각화된 제휴 관계를 통하여 다양한 컨셉의 커넥티드 카를 잇달아 소개하고 있다. GM의 「Onstar」와 BMW의 「Connected Drive」 등은 OEM 방식의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이 적용되었으며, 또한 차량의 추적(vehicle tracking), 도로의 이용료 과금(road user charging), 그리고 보험의 기능을 제공하는 애프터 마켓(aftermarket) 솔루션이나 Ford의「SYNC」와 같이 공장에서 인스톨되고 있는 하이브리드 시스템도 주목을 받고 있다.
커넥티드 카의 비포마켓은 블루링크와 같은 텔레메텍스 서비스를 통하여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며, 애프터마켓은 주로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 차량 내 기기의 연결로 통신비 절감 효과와 함께 다양한 서비스 구현할 수 있는 형태가 주류를 이룰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당사에서는 커넥티드 카를 중심으로 한 자동차와 IT 융합의 확대가 다양한 업계에 새로운 사업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전망하여, 관계 기관 ․ 업체의 실무담당자에게 연구개발, 사업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보고서를 기획하게 되었다.
본서에서는 커넥티드 카의 시장과 관련 기술 분야(텔레메틱스, M2M, ITS) 등을 면밀히 기술하였으며, 특히 커넥티드 카에 참여하고 있는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주요업체들의 개발동향과 사업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정리 ․ 분석하였다. 본서가 국내 자동차산업 및 연관 시장에 종사하는 분뿐만 아니라, 관심을 갖고 계신 모든 분들께 조금 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목차
Ⅰ. 커넥티드 카 시장 전망과 자동차 통신 기술 개황
1. 개요
1-1. 개념
1-2. 최근 이슈
1) 구글 - 무인차
2) 메르세데스 벤츠 - 페이스북 + 자동차
3) 아우디 - 아우디 커넥트
4) 현대자동차 - 블루링크
5) 기아자동차 - 터치콜서비스
1-3. 유형 분류
1) 서비스 유형 분류
(1) 차량 내 엔터테인먼트
(2) iOS 기기 연동 라디오
(3) 차량 내 고속 인터넷
(4) 음성인식
2) 제휴업체 유형 분류
(1) 이통사와 완성차 업체간의 협력
(2) 텔레콤 오퍼레이터 or 플랫폼 업체와 완성차 업체간의 협력
1-4. 하이퍼 커넥티드(Hyper-Connected) 시대 도래
2. 커넥티드 카의 시장 전망
2-1. 글로벌 이동통신 네트워크 도입 현황 및 전망
2-2.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시장 전망
1) ABI Research
2) IMS Research
2-3. 국내외 차량IT 시장 전망
2-4. 클라우드 제휴
2-5. 활성화 과제
3. 자동차 통신 및 보안 기술 동향
3-1. 자동차 통신 기술
1) 자동차 내부 통신기술
(1) CAN
(2)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3) FlexRay
(4)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 port)
2) 자동차 외부 통신기술
(1) WAVE (Wireless Access Vehicle Environment)
(2) IEEE 802.11p
(3) CALM(Continuous Access for Land Mobiles)
3) 자동차 통신의 기술 과제
(1) PHY and MAC protocol design
(2) 방송 및 라우팅 protocol
(3) 보안 기술
(4) 네트워크상의 이동성 관리
3-2. 자동차 네트워크상의 보안 기술
1) 내부 네트워크상의 보안
2) 외부 네트워크상의 보안
3) 글로벌 개인정보 법제화 동향
Ⅱ. 커넥티드카 관련 핵심기술 및 정책 동향
1. 텔레메틱스 시장 및 기술동향
1-1. 개요 및 구성
1-2. 텔레메틱스의 진화
1-3. 텔레메틱스 시장동향 및 전망
1) 국내외 시장동향
2) 국내외 시장전망
1-4. 국내 기술개발 동향
1-5. 추진중인 정부 정책
1-6. 활성화 방안
1) 지원 정책 방향
2) 기술사업화 방안
(1)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2) 자동차용 텔레메틱스 비즈니스
2. 사물지능통신(M2M) 및 플랫폼의 기술동향
2-1. 국내외 최근동향
1) 연도별 주요 현황
2) 기술개발 주요현황 및 이슈
3) 국내표준화 주요현황 및 이슈
4) 국제표준화 주요현황 및 이슈
5) 정책/산업 주요현황 및 이슈
2-2. 시장동향 및 전망
1) 해외동향 및 전망
2) 국내동향 및 전망
2-3. 핵심기술 동향
1) RFID
2)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3) IoT(Internet of Things)
4) M2M 관련 기술 간의 상호 관계
2-4. M2M 플랫폼
1) M2M 플랫폼의 중요성
2) 국내 이통사의 M2M 플랫폼
3) 지능형 사물 플랫폼 기술 동향
(1) 운영체제 기술
(2) 미들웨어 기술
(3) OTA(Over The Air) 기술
(4) 웹 서버 기술
4) 이기종 플랫폼 사이의 연동
3.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국내외 동향과 정부 추진 전략
3-1. 도입 배경 및 환경
1) 도입 배경
2) 국내 교통실태와 여건변화
3) 미래 교통체계 패러다임과 ITS
4) ITS의 중요성
3-2. 현황과 문제점
1) ITS 해외 동향
2) 국내 ITS 추진성과 및 해외진출 현황
3) 국내 ITS의 문제점
3-3. 정부 추진전략
3-4. 추진대책
1) 인프라 확대 및 고도화
2) 서비스 및 운영의 품질 향상
3) 글로벌 경쟁력 기반 확충
4) 차세대 기술․서비스 개발
3-5. 기대효과
3-6. 액션플랜
1) 인프라 확대 및 고도화
2) 서비스 ․ 운영 품질 향상
3) 글로벌 경쟁력 기반 확충
4) 차세대 기술 ․ 서비스 개발
Ⅲ. 국내외 분야별 주요 참여업체의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1. 제휴 동향
2. 이통통신사
2-1. 해외
1) AT&T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2) Verizon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3) T-mobile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4) 보다폰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5) NTT도코모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6) KDDI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7) 소프트뱅크 모바일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8) 차이나모바일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2-2. 국내
1) KT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2) SK텔레콤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3) LG U+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3. 자동차(완성차) 제조사
3-1. 해외
1) 지엠(GM)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2) 포드(Ford)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3) 메르세데스 벤츠(BENZ)
(1) 일반현황 및 최근 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4) 아우디(Audi)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 및 사업전략
5) 혼다(Honda)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6) 인피니티(Infineon Technologies)
(1) 일반현황 및 최근 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7) 도요타
(1) 일반현황 및 최근 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8) BMW / MINI
(1) 일반현황 및 최근 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3-2. 국내
1) 현대자동차
(1) 일반현황 및 최근 실적
(2) 사물지능통신(M2M)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2) 기아자동차(KIA)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4. S/W 및 플랫폼 관련업체
4-1. 해외
1) 구글(Google)
2)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3) 풀톤 이노베이션(Fulton Innovation)
(1)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5) 패럿(Parrot)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6) 알카텔-루슨트(Alcatel-Lucent)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7) 브로드컴(Broadcom)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8)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9) 퀄컴(QualComm)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10) NXP반도체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4-2. 국내
1) 유비벨록스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2) SK플래닛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3) 인포뱅크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4) MDS테크놀로지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5) 오비고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6) 인텔코리아
(1) 일반현황 및 최근실적
(2) 커넥티드카 관련 개발동향과 사업전략
5. 교통․운수 관련업체
5-1. 해외
1) Progressive
(1) 텔레메틱스
2) Vincent Limo
(1) 차량 모니터링 솔루션
5-2. 국내
1) 금호고속
(1) 차량관제시스템
2) SK마케팅앤컴퍼니
(1) 나비콜(NaviCall)
6. 관련 단체
6-1. The NG Connect Program
6-2. Car Connectivity Consortium
Ⅳ. 한국 자동차산업의 현황 및 전망
1. 한국 자동차산업 동향
1-1. 최근 이슈
1) 국내 이슈
(1) 내수시장 성장세 둔화
(2) 한-EU FTA 발효
(3) 수출 300만대 돌파
(4) 쌍용 경영 정상화와 쉐보레 브랜드 출시
2) 해외 이슈
(1) 유럽시장 판매 4년 연속 감소
(2) 중국, 인도 성장세 급격 둔화
(3) 미국 빅3의 부활
(4) 폭스바겐의 약진
(5) 일본업체의 자연재해로 인한 부진
(6) 중국, 합자업체의 독자브랜드 출시 가속
(7) 신흥시장, 자국 산업 보호주의 정책 강화
1-2. 자동차 생산 동향
1) 국내 생산
2) 해외 생산
1-3. 자동차 판매(내수, 수출) 동향
1) 연도별 판매실적
2) 업체별 판매실적
3) 내수 판매 실적
4) 수출 판매 실적
1-4. 수입자동차 판매현황
1) 수입차 총 등록 현황
(1) 지역별 등록 현황
(2) 월별 등록 현황
2) 차종별 판매 동향
(1) 수입국별 판매 동향
(2) 브랜드별 판매 동향
(3) 배기량별 판매 동향
(4) 가격대별 판매 동향
3) 연료별 판매 동향
4) 구매형태별 판매 동향
(1) 법인구매 ․ 개인구매 동향
(2) 수입차 오토리스 동향
(3) 연령대별 판매 동향
(4) 성별에 따른 판매 동향
5) 베스트셀링카 판매동향
(1) 2011년 브랜드별 판매 순위
(2) 연도별 베스트셀링카 모델
2. FTA 발효에 따른 국내 자동차산업 전망
2-1. 한 ․ 미 FTA
1) 한 ․ 미 FTA의 자동차분야 양허 내용
2) 발효 이후, 자동차 부문 교역 현황
3) 향후 전망
2-2. 한 ․ EU FTA
1) 한 ․ EU FTA의 자동차분야 양허 내용
2) 발효 이후, 자동차 부문 교역 현황
3) 향후 전망
Ⅴ. 참고 자료
1. ‘고안전 스마트카’ 기술로드맵
1-1. 개요
1-2. 개정 내용
1-3. 핵심 타깃 제품 및 산업 원천 기술
1-4. 기술 로드맵
2. 무선통신 통신서비스 관련 통계
3. 한국 자동차산업 관련 통계
3-1. 종합 통계
3-2. 생산 통계
3-3. 판매 통계
3-4. 수출 통계
3-5. 해외생산, KD(Knock Down) 통계
3-6. 수입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