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물 검색

신소재/부품 혼란스러운 디스플레이 시장 전망

  • 관리자 (irsglobal1)
  • 2019-09-02 13:31:00
  • hit9001
  • 59.16.96.152

디스플레이 리서치업체인 IHS Markit은 2019년 1월 23일 "최근 디스플레이 시장 및 유기 EL 산업 동향'이라는 제목으로, "유기 EL VS 액정 시장전망, 2019년 하반기 회복 전망과 우려 사항"을 주제로 기자 설명회를 개최 한 바 있다.

 

 

 

시니어 디렉터는 2016년부터 10년간의 시장 전망에 대해 디스플레이 업계는 VR 및 공용 디스플레이, OLED, 자동차 등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이 견인하여, 출하 면적은 전체 CAGR 4%로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최대 응용 프로그램은 텔레비전인 것이 변함없으며, 향후 수급은 65인치 이상 대형 패널을 견인하고 있고, 기존의 주역이었던 32인치는 향후 축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향후 디스플레이 업계에서 태풍의 눈이 되는 것은 중국의 동향이라고 한다. 하나는 미중 무역 마찰로 현재는 90일의 유예 기간을 미국이 중국에게 주고 있는 상태가 되어 있지만, 그 협상이 결렬되면 미국으로의 제품에는 25%의 관세가 부과되게 되고, 잉여 재고의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무역마찰의 영향은 세계 각국의 GDP 성장의 둔화가 우려되고 패널의 수요 감소에도 결부 될 수 있다.

 

 

또 중국에서 2022년까지 새롭게 가동이 예정되어있는 19개의 패널 공장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19개중 5개 공장은 최대의 기판을 이용한 LCD의 10.5세대로, 생산되는 패널은 80%가 65인치, 20%가 75인치가 된다. 이에 따라 중국은 한국을 넘는 세계 최대 패널 생산국이 될 예정이다. 이미 BOE는 2018년 11월, 12월에 이 크기의 세계 최대 공급처되고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2019년부터는 특히 이 사이즈의 공급이 과잉된다고 한다.

 

이에 따라 한국과 대만의 기존 7.5세대, 8.5세대 공장이 큰 압력을 받게 되고, 그 일부는 조업을 계속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대해 삼성은 이전 8.5세대 공장을 QD-OLED 패널의 생산공장으로 전환 할 계획이 있다고 한다. 이 시점에 따라 LCD 패널의 수급 균형이 일차적으로 바뀌고 공급이 타이트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구성요소의 공급도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드라이버IC를 필름 상에 실장하는 COF(Chip On Film)은 박형ㆍ슬림베젤의 디스플레이에는 빠뜨릴 수 없지만, 대형 패널 증산에 의해 2019년은 공급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

 

OLED를 포함한 전체 패널에도 공급 과잉은 적어도 2021년까지 계속된다. 이것은 삼성이 오래된 공장을 QD-OLED로 전환함에 따른 공급 감소를 가미하고, 그 많은 오래된 공장이 조업을 중단함으로써 수급 균형 회복하고 2022년에 다소 수요가 공급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했다.

 

 

OLED와 LCD의 경쟁은 2018년 매출액 8 : 2, 즉 액정이 78%, OLED가 21%로 되었다. 앞으로도 액정은 할인 요청에 따라 매출은 더욱 떨어지는 반면, OLED는 자동차 등 새로운 시장 출현 및 중국 공장 가동에 따른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OLED는 더 강해 진다고 보고 있으며, 몇 년 후 그 비율은 6 : 4가 된다고 예측했다.

 

새로운 디스플레이는 삼성이 μLED 디스플레이 데모를 CES에서 선보였다. 등장한 것은 75인치(4K), 146인치(4K), 219인치(6K)의 3종류. 바둑판 μLED 패널을 전면에 까는 방식으로 146 인치는 187매의 패널을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삼성은 가격은 밝히지 않았지만, IHS가 예상 한 결과에서는 75인치가 10만 달러, 146인치가 20만 달러, 219인치 50만 달러가 될 것으로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가정용보다 옥외 광고용 사용을 중심으로 상정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또한, 중소형 패널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접는 스마트 폰이 있다. 실용화되면 1대로 복수의 패널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요의 기폭제가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현재 접는 방식이나 새로운 OS가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용화에는 이 부분의 진화가 핵심이 된다.

 

스마트 폰으로는 지문 인증 기능을 디스플레이 아래에 담은 FoD와 화면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SoD 초음파 센서를 탑재하는 HoD, 적외선 센서 등 기타 센서를 패널 아래에 둔 UPS 를 실용화 목표로 하고 있지만, 이 경우 백라이트가 없는 OLED가 유리하기 때문에 또한 스마트 폰에서도 OLED의 비율이 증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중소형 FPD 시장과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보고했다. 스마트 폰 시장에서는 플레이어의 역학 관계가 변화하고 있다. 지금까지 2대 메이커인 Apple과 삼성은 Apple이 iPhoneX 저조하고, 삼성도 중국 제조업체에 점유율을 빼앗겨 고전하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의 Huawei, Xiaomi, Oppo가 출하 대수를 늘리며, 선두 애플과 삼성에 다가서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폰 각 세트 업체의 FPD의 조달량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지금까지 상위 2 개사인 삼성과 Apple 점유율이 하락하고, 그만큼을 3위 이하의 중국 Hawai, Xiaomi, Oppo 등이 점유율을 늘리고 있다. 이 움직임은 상위 기종에 탑재되는 AMOLED 출하 동향에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세트 업체의 역학 관계의 변화는 FPD 업체의 점유율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AMOLED는 여전히 삼성이 90% 이상을 장악하고 있지만, 적지만 중국 제조업체가 점유율을 늘리기 시작했다. LTPS TFT LCD에서는 지금까지의 JDI 대신 중국 Tianma가 최고 공급업체이다, 2위를 차지한 JDI에 이어 3위도 중국 BOE로, 중국 업체들이 큰 존재를 나타내고 있다.

 

2018년 휴대전화용 FPD 출하량 전망은 전년 대비 4% 감소한 19억 3,000만 장이 된다. 이것은 스마트 폰의 화면 크기를 대형화 전체 화면화함으로써 노린 수요 환기가 잘되지 않았던 것과 사용자 측도 소형 기종의 성능에 만족하고 교체 수요가 정체되고 있다. 또한 미중 무역 마찰과 경기 침체도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2018년 휴대폰 FPD의 출하금액 전망은 전년 대비 6% 감소한 4조 4,900억 엔이 된다. 출하량은 19억 개이지만 앞으로 침체 2025년까지 20억 개에서 한계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중소형 FPD 전체로 보면, 휴대폰의 출하량이 크게 줄었다. 그외 디지털 카메라와 모바일 PC 등 대부분의 응용 프로그램이 출하 수량을 줄이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 워치와 자동차 디스플레이가 출하량은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워치는 의외의 느낌도 들지만, 운동 측정 기능 이외에도 전자화폐 기능 등을 탑재하여 착용 할 수 있는 단말로 한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그 출하량은 2018년에는 전년 대비 140%로 1억 5,000만 대 규모가 될 전망이다.

 

자동차 디스플레이 시장은 전자 사이드 미러가 큰 열쇠를 쥐고 있으며, 아직 불확실성이 크지 만 큰 시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규모는 2018년 1억 6,000만 세트 이상, 2022년에는 2억 세트 이상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이 숫자도 무역 마찰과 중국 시장의 침체에 대한 영향은 포함시키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시장 동향에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향후 중소형 FPD 기술별 출하금액 예측을 보면, 스마트 폰의 상위 기종에 채용이 확대될 OLED는 당분간 높은 가격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디스플레이의 등장이 새로운 부가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한편 TFT LCD는 새로운 부가가치의 창출이 없는 한, 출하 금액의 회복은 기대할 수 없다고 예측했다.

 

중소형 FPD 시장에서 주의할 점은, 먼저 신형 iPhone의 가격에 있다고 한다. 지금까지 높은 브랜드 가치에 따라 100만원 이상의 가격으로 판매를 허용해 온 iPhone하지만 iPhoneX의 판매가 부진해 처음으로 가격 인하 판매를 실시하고 있다.

 

원래 공급 과잉이 계속해서 산업 전체의 문제로 대응이 요구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미중 무역 마찰에 의한 감산도 우려된다. 또한 2018년은 순조로웠던 자동차 시장은 전년보다 감소가 예측되고 있으며, 장기적인 관점이 요구될 것 같다. 또한 패널과 세트를 한 회사에서 행하는 제조업과 제휴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에 의한 부품의 부가가치 창출이 향후 생존의 관건으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FPD 설비 투자와 제조 기술 동향에 대해서도 보고했다. 현재 10.5세대 / 11세대 LCD 나 AMOLED 패널 공장이 계획되어 있으며, 그 중 5개의 공장이 이미 가동 / 착공하고 있다. 주로 중국 제조공장이지만, 삼성전자는 LCD 대형 패널에서의 경쟁을 꺼려서 8세대의 a-Si LCD 공장을 QD-OLED 공장으로 변경하려고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 LG 전자가 독점하고 있던 대형 OLED TV용 패널로 참가하게 된다.

 

대형 패널 공장의 난립으로 수급 밸런스 전망이 어려운 가운데, 중국의 지자체는 감속 경제를 견인하기 위해 패널 공장에 투자를 계속하고 있다. 일본은 패널 제조장치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2006년 시점에서는 66%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한국의 맹추격을 받고 그 점유율을 46%까지 떨어 있으며, 특히 OLED에서 그 경향은 현저하다.

 

 

대형 패널의 매출은 2019년 3 분기에 플러스로 돌아설 것으로 예측하고 있지만, 2018년 3 분기처럼 일시적으로 머물 우려가 있다고 한다. 대형 패널은 장기간 공급 과잉이 예상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가격과 이익은 강한 압박을 받게 된다.

 

관련도서 :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보고서 상세보기

http://www.irsglobal.com/shop_goods/goods_view.htm?category=02000000&goods_idx=83063&goods_bu_id=

 

 

 

 

 

 

 

게시글 공유 URL복사
게시물 검색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846 ICT/정보통신 LiDAR 개발 기업의 주요 동향 photo 관리자 2024-03-27 hit24
845 ICT/정보통신 자율주행용 스마트센서 : LiDAR(라이다) photo 관리자 2024-03-27 hit15
844 ICT/정보통신 미래 네트워크 6G의 가능성 photo 관리자 2024-03-19 hit139
843 ICT/정보통신 주요국별 5G 동향과 6G를 위한 대응전략 photo 관리자 2024-03-19 hit78
842 ICT/정보통신 디지털 대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의 신기술 개발 및 기술 토픽 photo 관리자 2024-03-19 hit90
841 자동차/로봇 2024년 로봇 트렌드 : 인공지능의 도입이 활발해진다 photo 관리자 2024-03-18 hit123
840 ICT/정보통신 2024년에 주목해야 하는 AI 트렌드 photo 관리자 2024-03-12 hit273
839 ICT/정보통신 2024년 AI의 미래 : 인공지능의 다음 전개는? photo 관리자 2024-03-12 hit125
838 ICT/정보통신 2023년의 활약부터 2024년의 전망까지 : AI 스타트업 업계의 최신 동향과 미래 예측 photo 관리자 2024-03-12 hit128